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LivenessProbe
- cloud
- scouter 설치
- jdbc
- readinessprobe
- cka후기
- Probe
- JNDI
- cka시험
- Scouter
- 스카우터
- Tomcat
- APM
- apache
- tomcat scouter
- tomcat db connection
- cka
- 쿠버네티스
- scouter 사용방법
- dbcp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8)
EDEN10 엔지니어 업무일지

probe : 컨테이너에서 kubelet에 의해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진단. LivenessProbe : 컨테이너 상태가 비정상이라고 판단하면, 해당 Pod를 재시작. ReadnessProbe : 컨테이너 상태가 비정상이라고 판단하면, 해당 Pod를 사용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서비스에서 제외 Node2에 있는 Pod2가 Failed이 되면, Pod2는 다른 노드에서 실행 되려 노력한다. 이때, Pod2가 Node3에서 Running이 되고 Container도 Running 상태 이지만, App이 Booting 중일 경우, Service에 접속하는 유저들은 50%확률로 Pod1에 접속하면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이용하겠으나 Pod2에 접속 시 Error 화면을 보게 될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Readin..

Scouter는 LG CNS 만들어 공개한 모니터링 오픈소스 APM입니다. 아래는 스카우터가 모니터링을 제공하는 실행 환경 흐름에 기반한 Scouter 구조도입니다. Scouter는 크게 Agent, Collector, Client 로 구분이 됩니다. * Server (Collector) : Agent가 전송한 데이터 수집 / 처리 * Host Agent : OS의 CPU, Memory, Disk 등의 성능 정보 전송 * Java Agent : 실시간 서비스 성능 정보와 Heap Memory, Thread등의 Java 성능정보 * Client (Viewer) : 수집 된 성능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Client 프로그램 즉 정리를 해보자면 Agent가 전송하는 정보를 Server(Collector)가 수집..
미들웨어 엔지니어로써 일을 하다보면 WAS와 DB 연결은 필수적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Tomcat을 기준으로 예를 들면, 당장 구글링만 해보아도 Tomcat과 DB 연결을 할 때에 JNDI라고 표현하는 사람들도 있고, JDBC라고 표현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 때문에 JNDI와 JDBC, 그리고 DBCP 관련해서 정확히 각각의 어떤 개념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스스로 다시금 정리하고, 또 좋은 글들을 참조하여 정리해보았다. JDBC, DBCP, JNDI 이 세가지는 JAVA에서 DB커넥션을 할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1차적으로 정리를 해보자면,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JDBC는 데이터베이스 커넥션 인터페이스 이다. - DBCP는 DB커넥션을 어플리케이션 소스 내에서 제어하면..

CKA란? 공인 쿠버네티스 관리자(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 CKA) CKA는 아래 링크에서 신청이 가능합니다 https://training.linuxfoundation.org/certification/certified-kubernetes-administrator-cka/ 시험 관련 정보 응시료: 지금 보니까 $395네요 ㅋㅋ.. 그냥 계속 올리는 것 같아요.. 너무 비싸죠ㅠ 그러므로 최대한 할인행사를 이용하여 쿠폰을 받고 결제를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저는 2022년 12월에 LINUXFOUNDATION에서 50프로 할인 쿠폰을 받아 결제하였습니다. 이 외에 구글링만 해도 쉽게 할인쿠폰을 찾아 볼수는 있다고 하네용! 시험 가능 기간 : 1년입니다. 결제 후, 1..
mod_jk란? 아파치와 톰캣을 연동하기 위한 모듈 AJP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아파치에 들어온 요청 중 톰캣이 처리할 요청을 AJP포트(일반적으로 8009)를 통해 톰캣에 전달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받는 역할을 수행. 아파치와 톰캣을 연동하는 방법에선 mod_jk(tomcat connector)를 이용한 방법, mod_proxy를 이용한 방법, mod_proxy_ajp를 이용한 방법 3가지가 크게 있다. mod_proxy는 AJP 같은 특정 프로토콜에 의존하지 않고 설정이 간편하여 성능상 우위를 점하고 있지만, mod_jk를 이용한 방식이 전통적으로 많이,널리 쓰이고 있다. mod_jk 란? 아파치와 톰캣을 연동하기 위한 모듈로써 AJ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아파치에 들어온 요청 중 톰캣이 처리할 요청을 A..
아파치 syntax 체크 : ./apachectl -t 아파치 기동 : ./apachectl start 아파치 정지 : ./apachectl stop 아파치 기동 확인 : ps -ef | grep httpd or netstat -na | grep 80
설치 디렉토리의 구성 설치 디렉토리 : /app/web/apache24 bin 디렉토리 : /app/web/apache24/bin : Apache 실행 파일들이 위치한 디렉토리 conf 디렉토리 : /app/web/apache24/conf : Apache 설정 파일들이 위치한 디렉토리 htdocs 디렉토리 : /app/web/apache24/htdocs : Apache 설치 후 기본으로 설정되는 웹 파일 디렉토리 logs 디렉토리 : /app/web/apache24/logs : Apache 로그 파일 기본 디렉토리 Modules 디렉토리 : /app/web/apache24/modules : Apache 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모듈들이 위치한 디렉토리
1. 아파치 서버 MPM( Apache Multi-Processing Modules ) - 아파치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서 받아들인 요청을 처리하기 위하여 자식 프로세스들에게 분배하는 모듈 - prefork 방식과 worker 방식이 있다 2. prefork - 하나의 자식 프로세스가 하나의 스레드를 갖는 구조로, 자식 프로세스는 최대 1024개까지 가능하다. - 스레드 간 메모리 공유 안 함(독립적이라 안정적인 대신에 메모리를 많이 사용) - 실행 중인 프로세스 복제하여 실행(메모리 영역까지 같이 복제) - 응답 프로세스를 미리 띄워놓고 클라이언트 요청 시 자식 프로세스가 반응하게 되는 방식 - 디버깅이 빈약한 플랫폼에서 쉬운 디버깅 가능 - 안전하지 않는 제3자가 만든 모듈 사용 가능 - 일반적으로 s..